2023년 2월 23일 목요일

역대 한국 대선 대통령 득표율, 임기, 연령, 고향, 학력, 종교, 군필, 정당, 종말 + 한국 총선 국회 득표율, 임기

위키 백과 내용을 다른 형식으로 간단하게 정리한 것임

역대 대선 대통령 임기와 득표율은?

대통령 취임일 퇴임일 득표율
1 이승만 1948-07-24 1952-08-14 91.8%(국회 간선, 180표) vs 2위 6.6%
2 이승만 1952-08-15 1956-08-14 74.6%(직선) vs 2위 11.4% 전쟁 중 선거
3 이승만 1956-08-15 1960-04-27 70.0%(직선) vs 2위 30.0%
권한대행 1960-04-27 1960-08-12 3.15 부정 선거 → 4.19 혁명
4 윤보선 1960-08-12 1962-03-22 79.1%(국회 간선, 208표) vs 2위 11%
권한대행 1962-03-22 1963-12-16 5.16 박정희 쿠데타
5 박정희 1963-12-17 1967-06-30 46.6%(직선) vs 2위 45.1%
6 박정희 1967-07-01 1971-06-30 51.4%(직선) vs 2위 40.9%
7 박정희 1971-07-01 1972-12-26 53.2%(직선) vs 2위 45.2% 
부정 선거 → 10월 유신 개헌(종신 독재)
8 박정희 1972-12-27 1978-12-26 99.9%(대의원 간선, 2,357표)
9 박정희 1978-12-27 1979-10-26 99.8%(대의원 간선, 2,577표)
권한대행 1979-10-26 1979-12-06 10.26 박정희 피살 사건
10 최규하 1979-12-06 1980-08-16 96.3%(대의원 간선, 2,465표)
권한대행 1980-08-16 1980-08-27 12.12 전두환 쿠데타
11 전두환 1980-08-27 1981-02-24 99.4%(대의원 간선, 2,524표)
12 전두환 1981-02-25 1988-02-24 90.1%(선거인단 간선, 4,755표) vs 2위 7.7%
13 노태우 1988-02-25 1993-02-24 36.6%(직선) vs 2위 28.0%
14 김영삼 1993-02-25 1998-02-24 42.0%(직선) vs 2위 33.8%
15 김대중 1998-02-25 2003-02-24 40.3%(직선) vs 2위 38.7%
16 노무현 2003-02-25 2008-02-24 48.9%(직선) vs 2위 46.6%
17 이명박 2008-02-25 2013-02-24 48.7%(직선) vs 2위 26.1%
18 박근혜
+최순실
2013-02-25 2017-03-10 51.6%(직선) vs 2위 48.0% 
부정 선거 의혹
19 문재인 2017-05-10 2022-05-09 41.1%(직선) vs 2위 24.03%
20 윤석열
+김건희
2022-05-10 2024-12-14 48.6%(직선) vs 2위 47.8%
부정 선거 의혹
권한대행 2024-12-14
12.3 윤석열 자살 쿠데타
21 아무개 아무날 아무날 직선이겠지?

대의원 간선은 만장일치 수준이라? ㅋㅋㅋㅋ 내각제 하면 이렇게 되나?
아니면 국민에게 보이기 위해서 이런 결과를 발표하는 건가?
만장일치가 될 때까지 무한 반복 회의/투표하는 교황 선거처럼?
박빙(보라색)일 경우는 부정 선거 효과가 의미 있게 된다.
득표율이 어떠하든 이긴 놈이 100% 다 먹는 구조 → 결선 투표 필요

인연(혈연, 지연, 학연, 종교)이 중요하겠지?

대통령 출생년 출생지 최종 학력 종교 군필
이승만 1875 황해 프린스턴 대학 국제법 철학 박사? 개신교 해당無/일제시대
윤보선 1897 충남 에든버러 대학 고고학 석사 개신교 해당無/일제시대
박정희 1917 경북 만주 군관/일본 육사/육군 대학 없음 대장
최규하 1919 강원 도쿄고등사범학교 영어영문학과 없음 해당無/일제시대
전두환 1931 경남 육군사관학교 11기 불교 대장
노태우 1932 경북 육군 대학 불교→천주교 대장
김영삼 1927 경남 서울대학교 철학과 학사? 개신교 학도병
김대중 1924 전남 목포공립상업학교 졸업 천주교 해당無/일제시대
노무현 1946 경남 부산상업고등학교 졸업/판사 불교 상병
이명박 1941 오사카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학사 개신교 미필/강제퇴소
박근혜
최순실
1952
1956
경북
서울
서강대학교 전자공학과 학사?
단국대 청강생?
불명확
불명확
해당無/여자
문재인 1953 경남 경희대 법학 학사/변호사 천주교 병장(특전사)
윤석열
김건희
1960
1972
서울
경기
서울대 대학원 법학 석사/검사
서울대 경영 전문 석사?
무속
무속
미필/눈병신?
해당無/여자
아무개 언제 어디 검사 출신 No! 무종교? 군필?

지적 수준을 보면 진짜 공부하고 받은 학위인지 의심스러운 사람이 몇 있지
김대중 이전까지는 군필 여부 따지는 건 의미 없지만 이후는 다르지?
대한민국 병역법 1949년 8월 6일(법률 제41호) 제정 (1948년 정부 수립)
이 법에 따라 징병검사는 1950년 1월 6일 최초 실시 (6월25일 전쟁 참전)
국방 떠드는 보수가 어떻게 미필자에게 투표 하냐?
그런데 교양 상식 면에서 왜 서울대 출신이 더 무식하냐?
가난한 집안 출신들이 서울대 출신보다 훨씬 더 똑똑한 거 같다.
교양 상식은 학교 공부가 아니라 개인적 독서를 통해 얻는 거야.
국영수가 교양 상식이냐? 자기 전공만 잘 하면 지도자가 될 수 있니?
장관 = 스페셜리스트(전문가) vs 제너럴리스트(만능) = 대통령


한국 대통령 이름을 연호처럼 사용하자

뉴스 보면 년도만 나오는데 어느 대통령, 어느 집권당 사건인지 찾아 보기 쉽게 만들었다.
책임 정치 (보수 쪽은 정당 이름, 대통령 이름, 정치인 이름 밝히라고)
※ MOP = Master Of Puppet / 꼭두각시의 달인 (괴뢰 주인)

년도 취임/퇴임 대통령+MOP 연령 연차 소속 정당 (여당)
1948 7월24일 이승만 73 0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949 이승만 74 1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950 이승만 75 2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951 이승만 76 3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952 이승만 77 4 자유당
1953 이승만 78 5 자유당
1954 이승만 79 6 자유당
1955 이승만 80 7 자유당
1956 이승만 81 8 자유당
1957 이승만 82 9 자유당
1958 이승만 83 10 자유당
1959 이승만 84 11 자유당
1960 4월27일 이승만 85 12 자유당/4.19혁명/탄핵
1960 8월12일 윤보선 63 0 무소속
1961 윤보선 64 1 무소속/5.16쿠데타
1962 3월22일 윤보선 65 2 무소속
1963 12월17일 박정희 46 0 민주공화당
1964 박정희 47 1 민주공화당
1965 박정희 48 2 민주공화당
1966 박정희 49 3 민주공화당
1967 박정희 50 4 민주공화당
1968 박정희 51 5 민주공화당
1969 박정희 52 6 민주공화당
1970 박정희 53 7 민주공화당
1971 박정희 54 8 민주공화당
1972 박정희 55 9 민주공화당
1973 박정희 56 10 민주공화당
1974 박정희 57 11 민주공화당
1975 박정희 58 12 민주공화당
1976 박정희 59 13 민주공화당
1977 박정희 60 14 민주공화당
1978 박정희 61 15 민주공화당
1979 10월26일 박정희 62 16 민주공화당/총살/12.12쿠데타
1980 8월27일 전두환 49 0 무소속
1981 전두환 50 1 무소속
1982 전두환 51 2 민주정의당
1983 전두환 52 3 민주정의당
1984 전두환 53 4 민주정의당
1985 전두환 54 5 민주정의당
1986 전두환 55 6 민주정의당
1987 전두환 56 7 민주정의당/6.10민주항쟁
1988 2월24일 전두환 57 8 민주정의당
1988 2월25일 노태우 56 0 민주정의당
1989 노태우 57 1 민주정의당
1990 노태우 58 2 민주정의당
1991 노태우 59 3 민주자유당
1992 노태우 60 4 민주자유당
1993 2월24일 노태우 61 5 민주자유당
1993 2월25일 김영삼 64 0 민주자유당
1994 김영삼 65 1 민주자유당
1995 김영삼 66 2 민주자유당
1996 김영삼 67 3 신한국당
1997 김영삼 68 4 신한국당
1998 2월24일 김영삼 69 5 신한국당
1998 2월25일 김대중 74 0 새정치국민회의
1999 김대중 75 1 새정치국민회의
2000 김대중 76 2 새정치국민회의
2001 김대중 77 3 새천년민주당
2002 김대중 78 4 새천년민주당
2003 2월24일 김대중 79 5 새천년민주당
2003 2월25일 노무현 57 0 열린우리당
2004 노무현 58 1 열린우리당
2005 노무현 59 2 열린우리당
2006 노무현 60 3 열린우리당
2007 노무현 61 4 열린우리당
2008 2월24일 노무현 62 5 열린우리당
2008 2월25일 이명박 67 0 한나라당
2009 이명박 68 1 한나라당
2010 이명박 69 2 한나라당
2011 이명박 70 3 한나라당
2012 이명박 71 4 한나라당
2013 2월24일 이명박 72 5 한나라당
2013 2월25일 박근혜+최순실 61 0 새누리당
2014 박근혜+최순실 62 1 새누리당
2015 박근혜+최순실 63 2 새누리당
2016 박근혜+최순실 64 3 새누리당
2017 3월10일 박근혜+최순실 65 4 새누리당/국정농단탄핵
2017 5월10일 문재인 64 0 더불어민주당
2018 문재인 65 1 더불어민주당
2019 문재인 66 2 더불어민주당
2020 문재인 67 3 더불어민주당
2021 문재인 68 4 더불어민주당
2022 5월9일 문재인 69 5 더불어민주당
2022 5월10일 윤석열+김건희 62 0 국민의힘
2023 윤석열+김건희 63 1 국민의힘
2024 윤석열+김건희 64 2 국민의힘/12.3자살쿠데타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도 어릴 때 대통령 했는데 왜 노무현만 괴롭히냐?
대통령을 나이 보고 뽑니? 그럴 거면 80대 노망 난 사람 뽑지?


비정상적 정권 교체와 헌법이 마이 바뀌면 공화국도 바뀐다

옛날 몇 공화국 드라마 보는 노인들도 잘 모르더라
하도 역사, 드라마, 교육이 거짓 선전, 세뇌 교육이라 믿을 게 못 된다

이승만 : 1공화국(48~60년) → 60년 4.19 혁명
윤보선 : 2공화국(60~61년) → 61년 5.16 쿠데타
박정희 : 3공화국(62~72년) → 4공화국(72~81년, 독재 개헌) → 79년 10.26 피살
최규하 : 4공화국 → 79년 12.12 쿠데타
전두환 : 5공화국(81~87년) → 87년 6.10 민주 항쟁
노태우 : 6공화국(88년이후) → 판/검을 악용한 모함/표적 수사의 시작
김영삼 : 6공화국
김대중 : 6공화국
노무현 : 6공화국 → 2009년 5월 23일 검찰의 모함/표적 수사에 안타까운 자살
이명박 : 6공화국
박근혜 : 6공화국 → 2017년 3월 10일 최순실 국정 농단으로 탄핵
문재인 : 6공화국
윤석열 : 6공화국 → 2024.12.3 자살 쿠데타 = 내란죄 (탄핵 → 사형/무기 확정)

좋은 대통령은 2회까지 연임 하도록 하자 (너무 아깝잖아?)
대통령 탄핵 사유를 넓히자 (민주주의 파괴, 경제적 비리도 포함)
정치인의 경제적 비리는 공소시효를 없애자 (이제는 지겨워)
대통령, 지방자치단체장은 결선 투표 하자 (선거는 확실하게 해야지)
의원은 비례 대표제 하자 (어차피 본질은 연정聯政이잖아?)
사법부도 변호사들의 투표로 임명 하자 (양심 없는 판사 불쌍하다)
마지막 재판은 배심원제(다수결)로 하자 (판사의 짐을 덜어주자)
다른 나라처럼 경찰은 수사, 검찰은 기소, 판사는 판결 분리하자
증거 없는 검찰의 기소는 판사가 바로 무고죄로 처벌 (원하면 다 구속이야?)
모함으로 시작한 표적 수사는 고문이니 고문죄로 처벌 (압수 수색도 적당히 해야지)
명예훼손(모욕죄)은 친고죄로 하자 (고소/고발 남발이 너무 심하다)
검찰이 기소하면, 일반인 재판은 99% 유죄, 정치인 재판은 50% 이상 무죄 (즉 모함)
정치는 토론(대화)과 협상(타협) 아니냐? (선동에 모함 지겹다)
※ 표적 수사 : 감옥에 보내는 게 목적인 정치 보복성 악질 수사


검찰 수사 받다가 죽는 것은 군부 독재 시절 경찰의 고문 수사 받다 죽는 것과 같다
분명 가족을 범죄자로 만들겠다고 협박하니 자살했겠지? 적당히 하지?
니가 한 악행(사기/위증/고문/협박 등)으로 누군가 죽었다면 너도 마땅히 죽어야 한다.




한국 대통령의 창피한 종말은?

사면 복권 하면 모든 벌금도 사라지는데 이러니 대통령만 되면 해 먹으려 하지
벌금은 최대한 강제 징수 하고 사면을 해 줘야 하는 거 아니냐?
범죄자는 대통령도 아닌데 왜 경호원을 붙여 주냐? 국민 복수가 두렵지?
※ 추징금 : 물건 몰수가 어려울 때 대신 추징追徵하는 금액

이승만 : 국부란 자가 노망 날 때까지 독재 하다 60년 4.19 혁명으로 쫓겨남
윤보선 : 박정희의 61년 5.16 쿠데타로 쫓겨남
박정희 : 김재규의 총탄에 79년 10.26 피살 됨. 숨겨진 막대한 비리에 대해선 알 수 없음
최규하 : 얼떨결에 대통령이 되었으나 곧 전두환의 79년 12.12 쿠데타로 쫓겨남
전두환 : 무기징역, 추징금 2,205억원 → 김대중의 사면
노태우 : 징역 17년, 추징금 2,688억원 → 김대중의 사면
김영삼 : 군부독재잔당 청산, IMF를 끌고 온 불명예, 주변인 비리 문제가 있었으나 무탈함
김대중 : 한국 최초 노벨상 수상, 주변인 비리 문제가 있었으나 무탈함
노무현 : 검찰의 모함/표적 수사와 좃충똥 등 선동 언론의 공격으로 안타까운 자살
이명박 : 징역 17년, 벌금 130억원, 추징금 57억 8천여만원 → 윤석열의 사면
박근혜 : 징역 22년, 벌금 180억원, 추징금 35억원 → 문재인의 사면
문재인 : 아직은 무탈함
윤석열 : 2024.12.3 자살 쿠데타 = 내란죄 (탄핵 → 사형/무기 확정)

방귀 뀐 놈이 성 낸다고 하지?
겨 묻은 개(도둑 개?)가 똥 묻은 개(똥개) 모함하는 것처럼
아니 똥 묻은 개(똥개)가 겨 묻은 개(쌀 먹은 개?) 모함하는 것처럼
한국 가짜 보수는 적반하장賊反荷杖에 염치廉恥가 없다.
※ 적반하장 : 도둑이 반대로 매를 든다
한국 개돼지 보수 지지자들은 설마 이 간단한 자신들의 창피 역사도 까먹은 거야?
이명박의 4자방 비리는 건드리지도 못 했다던데?
4대강 + 자원외교 + 방산비리 = 세금횡령 (공산 국가였으면 사형이다)


역대 총선 국회 의원 수, 구성, 선거 제도, 임기는?

대수 의원 구성 취임 퇴임 임기
1 200 지역구 200 1948-05-31 1950-05-30 2.0
2 210 지역구 210 1950-05-31 1954-05-30 4.0
3 203 지역구 203 1954-05-31 1958-05-30 4.0
4 233 지역구 233 1958-05-31 1960-07-28 2.2
5 291 지역구 233 (민의) + 58 (참의) 1960-07-29 1961-05-16 0.8
5.16 박정희 쿠데타 1961-05-17 1963-12-16 0.8
6 175 지역구 131 + 전국구 44 1963-12-17 1967-06-30 3.5
7 175 지역구 131 + 전국구 44 1967-07-01 1971-06-30 4.0
8 204 지역구 153 + 전국구 51 1971-07-01 1972-10-17 1.3
10월 유신 개헌 → 박정희 종신 독재 체제 1972-10-18 1973-03-11 0.4
9 219 지역구 146 + 통.주체국민회의 73 1973-03-12 1979-03-11 6.0
10 231 지역구 154 + 통.주체국민회의 77 1979-03-12 1980-10-27 1.6
10.26 박정희 피살 → 12.12 전두환 쿠데타 1980-10-28 1981-04-10 0.4
11 276 지역구 184 + 전국구 92 1981-04-11 1985-04-10 4.0
12 276 지역구 184 + 전국구 92 1985-04-11 1988-05-29 3.1
13 299 지역구 224 + 전국구 75 1988-05-30 1992-05-29 4.0
14 299 지역구 237 + 전국구 62 1992-05-30 1996-05-29 4.0
15 299 지역구 253 + 전국구 46 1996-05-30 2000-05-29 4.0
16 273 지역구 227 + 비례대표 46 2000-05-30 2004-05-29 4.0
17 299 지역구 243 + 비례대표 56 2004-05-30 2008-05-29 4.0
18 299 지역구 245 + 비례대표 54 2008-05-30 2012-05-29 4.0
19 300 지역구 246 + 비례대표 54 2012-05-30 2016-05-29 4.0
20 300 지역구 253 + 비례대표 47 2016-05-30 2020-05-29 4.0
21 300 지역구 253 + 비례대표 47 2020-05-30 2024-05-29 4.0
22 300 지역구 254 + 비례대표 46 2024-05-30 2028-05-29 4.0

전국구는 비례 대표 비슷한 것 같네? 선거 방식이 비례식이네.
어느 나라나 지역 감정이란 건 있으니까 지역으로 일단 나누고
그 지역의 인구에 비례하여 의석 수를 할당해 주고 (지역 인구 비례제)
그 지역 안에서 정책에 따라 비례 대표를 뽑는 게 가장 적당한 거 같은데?
지역 대표와 비례 대표의 장점을 모두 결합하는 거지
원래 참의원(상원)은 귀족, 민의원(하원)은 평민을 대표하는 거 아닌가? 일본식 같은데?
신분제가 없어졌는데 상원(귀족 상속?) 하원(평민 선출!)이 왜 필요하지?

민의―원 (民議院) [미늬―/미니―] ↔ 참의원
【명사】구(舊)헌법의 양원제 국회에서, 참의원과 함께 국회를 구성하던 한 원(院). 외국의 하원에 해당함. 
참의―원 (參議院) [차믜―/차미―] ↔ 민의원
【명사】구헌법에 규정했던 양원제 국회 중의 하나《상원에 해당》.

전국―구 (全國區) [―꾸] ↔ 지역구
【명사】⦗법⦘ 전국을 한 구로 한 선거구. 
지역―구 (地域區) [―꾸] ↔ 전국구
【명사】구(區)·시·군(郡) 따위 일정한 지역을 한 단위로 하여 설정된 선거구. 
소ː―선거구 (小選擧區) ↔ 대선거구
【명사】⦗정⦘ 한 선거구에서 의원 한 사람을 뽑는 제도의 선거구. 
대ː―선거구 (大選擧區) ↔ 소선거구
【명사】두 사람 이상의 의원을 선출하는 선거구. 
중―선거구 (中選擧區)
【명사】대(大)선거구와 소선거구의 중간에 해당하는 선거구. 선거구가 전국을 단위로 하지 않고 보통 도(道) 크기 정도의 지역을 단위로 하여 2-5명 정도의 의원을 선출함.
지역 대ː표제 (地域代表制) [―때―] ↔ 직능대표제
지역적 구성을 표준으로 하여 선거구를 설정하고, 그 안에서 대표자를 선출하여 의회로 보내는 제도. 
직능 대ː표제 (職能代表制) [징―] ↔ 지역대표제
직능별 단체에서 대표를 뽑아 의회에 보내는 대의 제도. 
비ː례 대ː표제 (比例代表制) ↔ 균등대표제
⦗정⦘ 정당의 총득표수에 비례하여 의석을 부여하는 선거 제도. 
균등 대ː표제 (均等代表制) ↔ 비례대표제
⦗정⦘ 세력의 차이에 상관없이 각 구성 요소에 균등한 수의 대표를 인정하는 제도. 
다수 대ː표제 (多數代表制) ↔ 소수대표제
⦗정⦘ 다수의 지지를 받은 사람이 곧 전체 의사를 대표한다고 보아, 이를 당선자로 결정하는 선거 방법. 
소ː수 대ː표제 (少數代表制) ↔ 다수대표제
⦗정⦘ 다수파의 의석(議席) 독점을 막고 소수파도 어느 정도의 의석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선거 제도.

역대 총선 결과는?

취임일 의원 대통령 제1당 의석 지지율 제2당 의석 지지율
1 1948-05-31 200 이승만 대한독립촉성국민회(이승만) ★ 55 24.43% 한국민주당(김성수) 29 12.17%
2 1950-05-31 210 이승만 민주국민당+대한국민당 48 19.50% 대한독립촉성국민회+대한청년당 ★ 23 10.10%
3 1954-05-31 203 이승만 자유당(이승만) ★ 114 36.80% 민주국민당(신익희) 15 7.90%
4 1958-05-31 233 이승만 자유당(이승만) ★ 127 42.10% 민주당(조병옥) 79 34.20%
5 1960-07-29 291 윤보선 민주당(장면) ★ 172 41.70% 사회대중당(서상일) 4 6.00%
1961-05-17 5.16 박정희 쿠데타
6 1963-12-17 175 박정희 민주공화당(박정희) ★ 110 33.50% 민정당(윤보선) 40 20.10%
7 1967-07-01 175 박정희 민주공화당(박정희) ★ 129 50.60% 신민당(유진오) 45 32.70%
8 1971-07-01 204 박정희 민주공화당(박정희) ★ 113 48.80% 신민당(김홍일) 89 44.40%
1972-10-18 계엄 기간 : 10월 유신 개헌 → 박정희 종신 독재 체제
9 1973-03-12 219 박정희 민주공화당(박정희) ★ 73 38.70% 신민당(유진산) 52 11.90%
10 1979-03-12 231 박→전 민주공화당(박정희) ★ 68 31.70% 신민당(이철승) 61 32.80%
1980-10-28 계엄 기간 : 10.26 박정희 피살 → 12.12 전두환 쿠데타
11 1981-04-11 276 전두환 민주정의당(전두환) ★ 151 35.60% 민주한국당(유치송) 81 21.60%
12 1985-04-11 276 전두환 민주정의당(전두환) ★ 148 35.20% 신한민주당(이민우) 67 29.30%
13 1988-05-30 299 노태우 민주정의당(노태우) ★ 125 34.00% 평화민주당(박영숙) 70 19.30%
14 1992-05-30 299 노태우 민주자유당(노태우) ★ 149 38.50% 민주당(김대중) 97 29.20%
15 1996-05-30 299 김영삼 신한국당(김영삼) ★ 139 34.50% 새정치국민회의(김대중) 79 25.30%
16 2000-05-30 273 김대중 한나라당(이회창) 133 39.00% 새천년민주당(김대중) ★ 115 35.90%
17 2004-05-30 299 노무현 열린우리당(정동영) ★ 152 38.26% 한나라당(박근혜) 121 35.76%
18 2008-05-30 299 이명박 한나라당(강재섭) ★ 153 37.48% 통합민주당(손학규) 81 25.17%
19 2012-05-30 300 이명박 새누리당(박근혜) ★ 152 42.80% 민주통합당(한명숙) 127 36.45%
20 2016-05-30 300 박근혜 더불어민주당(김종인) 123 25.54% 새누리당(김무성) ★ 122 33.50%
21 2020-05-30 300 문재인 더불어민주당(이해찬) ★ 180 33.35% 미래통합당(황교안) 103 33.84%
22 2024-05-30 300 윤석열 더불어민주당(이재명) 175 26.69% 국민의힘(한동훈) ★ 108 36.67%

★ 표시 : 여당, 빨강 : 친일파+독재당
지지율 = 비례 득표율 = 그 당 지지자 비율 ≠ 의석 수 = 지역 대표 + 비례 대표
반민주무리(보수우파?) 지지하는 사람들 비율이 가장 높다는 거네?
이 말은 100% 비례 대표로 할 경우 친일 독재 잔당이 항상 1당이 된다는 것
이 개돼지 비율은 약 30%대이며 주로 낡은이 + 갱상디언 + 하위 20% 저능아로 구성
※ 개돼지는 친일 독재 잔당이 자기 지지자들을 표현하는 단어이다
그러나 반독재세력(진보좌파?) 연합이 약 60% 대로 2배 수준으로 우세하다는 것
이렇게 우세함에도 겨우 1/3 때문에 마음대로 개헌, 탄핵을 못 한다는 게 우습다.
적정 의석 수는 유권자 인구 비례로 1만 명에 1명이 좋을 거 같은데?
왜냐하면 1만 명 정도면 직접 만날 수도 있고 한 곳에 모아서 연설도 가능하니까
2와 3과 5의 배수로 해야 다음과 같은 비율의 의결이 가능하지

1/2 = 50.0% = 보류!
3/5 = 60.0% = 선택?
2/3 = 66.6% = 선택!
3/4 = 75.0% = 확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